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정치주식제태크

“시위 신고, 어떻게 해야 할까? 절차·방법 완전정리 | 경찰에 신고하는 법, 주의사항까지 총정리!(2025년 최신)”

by Best Moment Science Justice 2025. 5. 7.
728x90

“2025년 기준, 시위 신고는 이렇게 합니다 (불법과 합법의 경계 이해하기)”

‘집회’나 ‘시위’는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길에 나가 외치면 불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전에 “시위 신고”**를 해야 하죠.
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시위 신고 절차,
주의할 점, 그리고 실제 작성 팁까지 정리해봅니다.




1. 시위 신고, 왜 해야 할까?
• 대한민국 헌법 제21조: “모든 국민은 집회·결사의 자유를 가진다.”
• 다만,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에 따라 신고제로 운영
• 미신고 시위는 불법으로 간주되어 형사처벌될 수 있음

따라서 **“신고=권리를 지키는 시작”**입니다.



2. 어디에, 어떻게 신고하나요?

■ 관할 경찰서에 신고합니다.

시위 장소를 관할하는 경찰서 정보과 또는 112 치안종합상황실에 신고합니다.

■ 신고 방법
• 직접 방문하여 ‘집회신고서’ 제출
• 전자민원 시스템(민원24/경찰청 홈페이지) 이용 (일부 지역 가능)
• 팩스/등기우편도 가능하지만, 접수 확인 필수



3. 신고서에 꼭 들어가야 할 항목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3조에 근거)
• 집회의 일시, 장소, 목적
• 주최자 및 연락처
• 인원수 예상
• 사용할 확성기, 플래카드 등 도구
• 질서유지인 명단

※ 허위 기재 시 불이익 발생 가능



4. 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집회 전 최소 48시간 전까지 신고해야 함
• 예: 5월 10일 오후 3시 시위 → 5월 8일 오후 3시까지 신고 마감



5. 이런 경우에는 금지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집회 신고가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금지 통고될 수 있는 사례입니다:
• 대통령 관저 100m 이내
• 통행 방해 우려가 큰 경우 (도로 점거 등)
• 초·중·고 인근 수업 방해 우려
• 이미 같은 장소에 다른 집회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 위 내용은 **경찰청 공공안전정보포털**에 기반함



6. 주의사항 및 꿀팁
• 확성기 사용 시 시간·데시벨 제한 있음 → 경찰과 사전 조율 권장
• 질서유지인 지정 필수 (2인 이상 추천)
• 가능한 경우 변호사나 시민단체와 협업 추천
• 미신고 시위는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음 (집시법 제20조)



7. [추측]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신고 안 해도 괜찮다”는 말이 있으나…

이는 법적으로 큰 위험이 따를 수 있는 추측성 주장입니다.
실제 판례들을 보면, 미신고로 인해 벌금, 구류, 형사처벌이 내려진 경우가 다수 존재합니다.
→ 법적 보호를 받으려면 반드시 신고하세요.



[출처 명시]
• 경찰청 공공안전정보포털
• 국가법령정보센터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결론]

시위는 합법적 절차를 따라야만 ‘권리’가 됩니다.
사전 신고를 통해 법적으로 보호받으며,
보다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과 안전한 집회를 진행하세요.




#시위신고방법 #집회신고절차 #집시법 #경찰서시위신고 #합법시위 #시위허가받는법 #2025시위신고 #헌법21조 #국민권리행사 #집회자유보장 #경찰청민원신고 #공공정보안내 #법적절차알기 #시위법정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