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 회사생활 학업 면접 알바정보

삼성전자 메모리 파운드리 차이는?퀄컴,인텔, TSMC?[반도체 사업 완전 해부]

by Best Moment Science Justice 2025. 5. 7.
728x90

 

  1. “삼성전자 반도체, 두 얼굴의 비밀: 메모리 vs 파운드리 차이 한눈에 정리!”
  2. “TSMC·인텔·삼성전자… 왜 파운드리에 목숨 거는가?”
  3. “반도체 회사라고 다 같은 게 아니다? 메모리와 파운드리 완전정복!”
  4. “퀄컴·삼성·TSMC는 뭘 만드는 걸까? 반도체 사업부 A to Z"

 


📌 서론: 반도체 전쟁의 시대

 
요즘 뉴스만 봐도 반도체 이야기가 빠지지 않죠. 삼성전자, 인텔, TSMC, 퀄컴…
이 회사들이 모두 반도체 기업이지만 하는 일이 다르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반도체 산업의 두 핵심 축인 메모리 사업부와 파운드리 사업부의 차이를 쉽게 설명드릴게요.
끝까지 보시면 뉴스나 투자 리포트 볼 때 이해도가 확 달라질 겁니다.
 


 

🧠 메모리 사업부란? (Memory Business Unit)

 

  • 무엇을 하나요?
  • 데이터를 저장하는 D램(DRAM), 낸드플래시(NAND Flash) 같은 메모리 반도체를 직접 설계하고 제조함.
  • 고객?
  • 스마트폰 제조사, 서버 업체, PC 제조사 등
  • 대표 회사✅ SK하이닉스
  • ✅ 마이크론(Micron)
  • 삼성전자 (압도적 1위)
  • 장점: 대량 생산 → 원가 절감 가능
  • 단점: 경기 민감도 매우 높음 (재고 쌓이면 단가 급락)

 


 

🏭 파운드리 사업부란? (Foundry Business Unit)

 

  • 무엇을 하나요?쉽게 말해, 반도체 설계도면을 받아서 공장에서 찍어주는 역할.
  • 퀄컴, 애플 같은 팹리스(설계 전문 회사)가 만든 설계를 위탁 받아 제조함.
  • 고객?
  • 팹리스 기업: 퀄컴, 엔비디아, 애플, AMD 등
  • 대표 회사TSMC (압도적 1위)
  • ✅ 인텔 (최근 파운드리 확장 중)
  • 삼성전자 (2위권)
  • 장점: 고객 다양화 가능, 기술력만 있으면 고부가가치
  • 단점: 초기 투자 매우 큼, 수율과 기술력이 생명
메모리사업부와 파운드리사업부의 설명과 차이 뜻

 

💡 인텔, 퀄컴, TSMC는 어떤 역할일까?

 

  • 인텔(Intel)최근 파운드리 사업 확장 시도 중.
  • 전통적으로 CPU 설계 및 생산을 모두 직접 하는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 퀄컴(Qualcomm)스냅드래곤 칩 설계만 하고 생산은 삼성전자나 TSMC에 위탁.
  • 대표적인 팹리스(fabless) 기업.
  • TSMC애플, AMD, 엔비디아 등의 칩 생산 담당.
  • 기술력과 수율에서 삼성보다 한발 앞서 있음.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파운드리 기업.

 


 

🔮 결론: 반도체 기업, 다 같은 회사가 아니다

 
“반도체 회사니까 다 똑같이 만드는 거 아냐?”
→ 절대 아닙니다.
설계 중심인지, 생산 중심인지에 따라 사업 구조가 완전히 다르고, 리스크도 달라집니다.
삼성전자도 메모리에서는 ‘완전한 제조업’, 파운드리에서는 ‘서비스업’에 가까운 구조로 움직입니다.

728x90